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눈다래끼가 많이 나요.. 눈다래끼의 종류, 원인과 증상, 치료법과 예방법
    건강 2023. 8. 16. 18:29
    반응형

    저희 아이는 어려서부터 눈다래끼가 많이 나는 편이었는데요, 이제는 낌새가 있다 싶으면 상비약으로 사다 놓은 약을 먹어 가라앉힙니다. 하지만 눈다래끼를 잘 치료하지 않으면 여러 합병증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눈다래끼가 나면 통증도 있을뿐더러  외관상으로도  안 좋습니다. 오늘은 눈다래끼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눈다래끼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눈다래끼란? 

    눈꺼풀 위에 있는 분비샘에 생긴 염증을 눈다래끼라고 합니다.

    우리 눈을 덮고 있는 눈꺼풀은 안검이라고도 부릅니다. 눈꺼풀은 안구 앞부분을 덮고 있고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일을 하고 외부로부터 눈을 지켜주고, 눈물샘이 있어 각막을 촉촉하고 투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눈꺼풀에는 속눈썹 뿌리 부위에 있는 짜이스샘몰샘, 눈꺼풀에서 지질분비를 컨트롤하는 마이봄샘 등의 여러 분비샘이 있습니다. 이 분비샘에 생긴 염증을 눈다래끼라고 합니다. 

    2. 눈다래끼의  종류와 증상

    다래끼는 발생 부위와 원인에 따라서 크게 세가지의 종류로 나눕니다. 눈꺼풀에 있는  분비샘 중 짜이스샘, 몰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겉다래끼라고 하며, 마이봄샘의 급성화농성 염증을 속다래끼(신립종)라고 부릅니다. 마이봄샘에 생긴 만성 육아종성 염증은 콩다래끼(맥립종)라고 부릅니다. 

    2.1 겉다래끼

    눈꺼풀에 있는 분비샘 중 짜이스샘, 몰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겉다래끼라고 합니다. 겉다래끼 증상 초기에는 염증이 손으로 만져지지 않고, 눈꺼풀이 불편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눈꺼풀이 뻐근해지면서 빨갛게 부어오른 뒤,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에 의한 물질이 피부로 이동됩니다. 고름이 차기 시작하면서 이물감, 통증이 심해지며, 눈꼬리 쪽에 거품처럼 하얀 눈곱이 생기기도 합니다. 

     

    짜이스샘, 몰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겉다래끼라고 합니다.

     

    2.2 속다래끼(신립종)

     마이봄샘의 깊은 쪽에 위치하는 급성화농성 염증을 속다래끼(신립종)라고 부릅니다. 겉다래끼보다 깊이 위치하는 속다래끼는 결막 면에 노란 농양 점이 나타납니다. 염증 초기에는 만져지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불편해지며 미세한 통증이 느껴집니다. 

     

    눈꺼풀 안쪽에 생기는 다래끼를 속다래끼라고 합니다. 마이봄샘에 생깁니다.

     

     

    2.3 콩다래끼(맥립종)

    콩다래끼(맥립종)는 겉다래끼, 속다래끼와는 달리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혀 정상적으로 배출하지 못한 분비물과 괴사조직이 없어지지 않고 쌓여서 생깁니다. 콩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밑에서 단단한 결절이 만져지지만, 붓거나 통증과 같은 염증 증상은 동반되지 않아 늦게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급성 세균감염이 아니고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혀 배출되지 못한 분비물과 괴사조직이 없어지지 않고 싸여서 생기는 콩다래끼

     

     

    3. 눈다래끼의 원인

    겉다래끼와 속다래끼는 짜이스샘과 몰샘, 마이봄샘의 감염으로 발생하며 주로 포도상구균 감염으로 생깁니다. 콩다래끼는 세균감염이 동반된 것은 아니고 배출되지  않은 기름 성분에 의한 만성적인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한 것입니다. 

     

    다래끼는 눈을 자주 비비는 습관이 있으면 세균 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비타민A 부족이나 모낭충이 과다하게 증식하는 경우 다래끼의 발생률과 재발률이 높아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고 합니다. 

     

    다래끼는 면역력 저하와 피로는 물론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며 기온 차가 심한 환절기에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다래끼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다래끼의 치료  

    다래끼는 시간이 지나며 자연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더운 찜질이 효과적이고 가장 자주 사용되는 치료 방법입니다. 더운 찜질은 염증을 줄이고 농양의 배출을 돕는 데 효과적입니다. 

    다래끼 병변이 크거나 지속되는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항생제 눈연고를 바르면 주위 속눈썹 뿌리로 감염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치료 기간이 단축되어 심한 정도가 완화될 수 있습니다. 만약, 감염이 안구 주변이나 눈 주위 피부로 번진다면 전신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고, 농양이 배출되지 않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절개하여 배농 시켜야 합니다.

    콩다래끼는 크기가 작고 별다른 불편함이 없는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합니다. 초기 치료에는 온찜질과 국소 항생제나 경구 항생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자연 흡수가 되지 않고 남아있으면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내어 치료할 수 있습니다.

     

    5. 다래끼 예방법 

    ▶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더러운 손으로 눈을 자주 비비지 않습니다. 
    ▶ 외출 후에는 온수로 세안을 철저히 하고 눈 주위를 청결하게 닦습니다. 
    ▶ 주로 세균으로 발생하는 다래끼는 손 위생관리가 중요합니다. 
    ▶ 씻지 않은 손으로 염증 부위를 만지지 않습니다. 


    다래끼는 흔한 질환으로 자칫 방치하기 쉬워 염증이 심해져 수술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초기에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오늘은 다래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